간척지 지반의 특성 노출간척지는 해수면이 낮기 때문에 상시 고농도의 염분이 포화되어 토양용액의 삼투압이 높아 수목 뿌리로 수분 흡수가 어렵고 배수가 불량하여 수목생장이 저해되거나 고사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간척지는 바다매립지와 달리 지형이 낮고 평탄하여 경사가 낮아 배수가 느리고, 지하.. 바다매립지녹화연구소 Laboratory/바다매립지 녹화의 문제 Problem 2017.04.03
나무의 뿌리 네델란드 플라보랜드(Flevoland, Netherlands) 해안 간척지 조림 숲에서 바람에 쓰러진 대형목의 뿌리이다. 뿌리의 분포 상태를 살펴 보았다. 뿌리가 매우 천근성으로 자라고 있었다. 뿌리가 천근성으로 자라는 이유는 표토로 부터 40~60cm 층이 점토가 많기 때문으로 보였다. 점토가 많으면 토양.. 조경식물 Landscaping Plants/나무뿌리 2013.11.19
생태숲모델 생태숲은 원시자연생태숲, 이차림생태숲, 경관생태숲, 조림생태숲, 조경생태숲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조경식재에 의해서도 생태숲이 조성될 수 있다. 이 숲은 간척지에 조성된 숲으로 다층구조의 숲으로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물질순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심미적으로도 매우 .. 조경식재학 Landscape Planting/생태숲의 모델 Ecological Forest 2013.06.06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Method for forming planting soil for roots} ‘염분 및 식물 유해물질 차단을 위한 인공지반 및 그 조성방법’은 김도균 교수가 등록한 것이고, ‘수목 식재지반조성 방법’은 정정채 명예교수와 김도균 교수가 공동으로 특허등록되었다. ♧ 염분 및 식물 유해물질 차단을 위한 인공지반 조성 및 그 조성방법 ♧ '염분 및 식물 유해.. 경력 Profile/특허 Patents 2013.05.10
잘려나가는 간척지 나무들 잘려나가는 간척지 나무들 미루나무(Popular)는 수고 15~50m, 흉고직경 2.5m 까지도 성장하고, 대단히 빨리 자라고, 토양염분이 높은 곳에서 다소 적응하기 때문에 간척지에 많이 심었다. 그런데 수명이 짧고, 강한 바람에 잘 너머지기 때문에 벌목한 곳을 많이 볼 수 있다. 바람에 가지가 잘 부.. 바다매립지녹화연구소 Laboratory/간척지에서 잘려 나가는 수목들 2013.05.06
외래종에 의한 생태학적 식재 진보하는 생태학적 식재! 생태학적 식재를 할 때 식재모델은 식재하고자 하는 장소로 부터 가장 유사한 환경에서 현존식생이나 잠재자연식생을 토대로 식재모델을 개발하여 왔다. 그러나 잠재자연식생은 과거의 환경에 맞는 식생으로 현재의 환경에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조경식재학 Landscape Planting/진보하는 생태학적 식재 Advance 2013.05.04
바다매립지 자생생물 연못 정원 감회가 새로운 바다매립지 폐세륜장 비오톱! 해안 간척지 자료를 정리하다가 십수년 전에 000지역 바다매립지 폐세륜장을 이용하여 만들었던 연못 사진을 보았다. 감회가 새롭다. 아니 대견했다. 왜냐하면-----! 나는 폐기 하려는 세륜장을 원형 그대로 이용하여 00지역에 있는 고유의 재료.. 정원학Garden Design & Construction/내가 만든 정원, 공원, 도시녹지 등 2013.04.30
토양염분차단 염분차단 간척지나 바다매립지에서는 지하부에 항상 존재하는 토양염분이 여름철에 가뭄이 들면 뜨거운 햇볕에 토양수분이 증발하면서 지하부에 있는 염분이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표토 쪽으로 상승하면서 식물의 뿌리 생장을 저해한다. 그래서 식물 생장이 불량해지거나 죽게 된다. 염.. 바다매립지녹화연구소 Laboratory/토양염분차단 Cut-off of the salt 2013.04.30
저서 . 저 서 / Publish · 사이다 이사오(采田 勳)/ 김도균 번역 감수(2016) 정원사가 알려주는 정원관리백과. 두양사. · 공저 김도균(2015) 조경관리학. 문운당. · 오구균, 김도균, 김용식, 이경재, 안영희(2008) 조경식물도감. 광일문화사 Oh Koo-Kyoon. Do-Gyun Kim, Yong-Shik Kim, Kyong-Jae Lee, Yeong-hui An. 2008. Lan.. 경력 Profile/저서 Publication 2013.03.09
학위논문 · 박사학위 Ph. D. - 농학박사학위: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임해매립지의 조경수목생장 특성 -광양만의 곰솔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Ph.D. in Agriculture: Graduate School of Yeongnam University. Repuplic of Korea.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andscaping Trees i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A case study on Pinus Thunberg.. 경력 Profile/학력 Eduacational Background 201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