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하는 생태학적 식재!
생태학적 식재를 할 때 식재모델은 식재하고자 하는 장소로 부터 가장 유사한 환경에서 현존식생이나 잠재자연식생을 토대로 식재모델을 개발하여 왔다. 그러나 잠재자연식생은 과거의 환경에 맞는 식생으로 현재의 환경에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잠재식생으로 생태복원하였을 때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다 현실적인 생태학적 식재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한다.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외래종으로도 생태학적 식재를 하여 왔다고 한다.
*그림: 토양염분이 높은 간척지에 적응 가능한 외래종으로 식재한 생태학적 숲
토양염분이 높은 간척지에서 외래종으로 식재하였지만 생태학적 식재에서 추구하는 생태안정성, 물질순환성, 종다양성이 충족되고, 인간이 추구하는 심미적 아름다움과 환경적 기능성도 충족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