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6월 29일 오전 05:22 가뭄에 상록활엽수 엄청 죽어! 남해안이 상록활엽수림대라는 주장과 지구온난화에 의해 상록활엽수가 북상할 것이라는 주장에 생태복원 한답시고 대단위로 식재 하였는데 이번 가뭄에 많이 죽어가고 있다. 상록활엽수는 대부분 가뭄에 민감하기 때문에 온도가 따뜻한 난온대상록 활엽.. 조경식재학 Landscape Planting/조경식재 이후 관리 2017.06.29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Method for forming planting soil for roots} ‘염분 및 식물 유해물질 차단을 위한 인공지반 및 그 조성방법’은 김도균 교수가 등록한 것이고, ‘수목 식재지반조성 방법’은 정정채 명예교수와 김도균 교수가 공동으로 특허등록되었다. ♧ 염분 및 식물 유해물질 차단을 위한 인공지반 조성 및 그 조성방법 ♧ '염분 및 식물 유해.. 경력 Profile/특허 Patents 2013.05.10
우리나라 바다 모래사장에 사는 나무 천리포해수욕장 모래사장에 식재된 수종들의 생장 상태 우리나라에도 바닷가 모래밭에서 사는 조경수목이 있다. 천리포 해수욕장에 가면 볼 수 있다. 곰솔과 등나무 몇 주는 생육이 양호하다. 그러나 은행나무는 생육이 불량하다. 해안식생 Coastal Vegetation/한국의 해안식생 Coastal Vegetation 2010.10.12
해안 방풍막에 대하여 바람은 수목생장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강한 바람은 수목생장에 매우 불리하다. 바닷가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하여 바닷물이 비산되거나 태풍에 의하여 식재하는 수목이 생장할 수 없기 때문에 방풍막을 실치하고 있다. 방풍막은 구조적으로 경직스럽고, 시설비가 많이 들며, 생물이.. 바다매립지녹화연구소 Laboratory/해안방풍림Windbreak Forest 2010.02.02
바다매립지 녹화의 개요 바다매립이란 간척 방법의 하나로 해수면 이하의 저지대를 메워서 육지화한 것이다(오구균`김도균, 2007). 바다매립지를 일본에서는 임해매립지(臨海埋立地)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임해매립지라고 하는 것은 일본식 한자음을 그대로 한글화 한 것으로 우리말로 순화되지 않은 언어이다. 임해매립지.. 바다매립지녹화연구소 Laboratory/개념 Conception 2009.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