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임해매립지 녹화는 사실상 성공적인 곳은 거의 없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임해매립지는 대단위로 조성되고 있으며, 정주생활환경 개선을 위하여 임해매립지 녹화가 대단위로 조성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국의 임해매립지에서 막대한 예산과 식물자원을 투자하여 조성한 녹지대에 원래 식재한 식물이 제대로 생육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설령 잘 생육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과도한 생장으로 오히려 유지관리가 어려운 것이 많이 있습니다.
그것은 임해매립지 녹화에 대한 기술이 일천하기 때문이며, 무지한 식재설계와 시공 그리고 유지관리 때문입니다. 임해매립지는 주지하는 바와같이 입지적 특성, 토양환경적 특성, 기후적 특성, 생물적 특성, 생태적 특성, 인문`사회학적 특성으로 매우 특수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내륙에서의 식재설계와 시공방법으로는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최근 대단위 임해매립지 녹화에 있어서도 무지한 식재설계와 시공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시공이후 수목의 생장이 불량해지거나 대규모 병충해의 피해, 태풍피해, 경관의 불량 등의 상태를 볼 때가 많이 있으며, 수목선정에 있어서도 매우 비합리적인 선정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임해매립지녹화를 할때 가장 기본적으로 식재하는 것이 내염성과 내조성이 강하다는 곰솔을 약방의 감초 처럼 식재하고 있지만 곰솔이 5~7년 이상 생장 후에는 그 식생경관이 매우 불량하고 바람에 도복되어 태풍이 불때 마다 쓰러져서 바로세우는데 신규식재비용보다 더 많은 유지관리비가 소요된다는 것을 아는 녹화기술자는 많지 않습니다.
임해매립지의 녹화 설계와 시공은 가급적 현장에서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다양한 경험이 많이 있고, 학문적으로도 연구를 많이한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됩니다.
'바다매립지녹화연구소 Laboratory > 바다매립지 녹화실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매립지 조경식재에 대한 연구의 문제 (0) | 2009.12.16 |
---|---|
바다매립지녹화의 문제 (0) | 2009.01.25 |
바다매립지 녹화사업의 개념 (0) | 2009.01.25 |